레드햇, 데스크톱 리눅스OS 일반판매

그동안 서버용 리눅스 운영체제(OS) 사업에만 주력해온 레드햇이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데스크톱용 리눅스 OS 판매에 나선다. 레드햇은 그동안 기업에 서버용 OS를 공급하면서 묶음판매 형식으로 일정수량 이상의 데스크톱 OS를 공급한 적은 있지만, 시장성 부족 등을 이유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는 판매를 하지 않았다.3일 박준규 레드햇코리아 상무는 "6월부터 데스크톱 리눅스 OS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5 데스크톱'을 일반 소비자들에게 판매하기로 했다"고 말했다.박준규 상무는 "그동안 데스크톱용 리눅스 OS 시장이 상대적으로 큰 인도를 제외한 전 세계 모든 국가에서 일반 소비자에게 OS 판매를 하지 않았지만, 데스크톱용 제품 출시요구가 늘고 시장크기도 커지고 있다고 판단돼 이번에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데스크톱용 리눅스 OS 판매를 결정했다"며 "한국에서도 다음달부터 채널망을 통해 공급을 시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가격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10만~20만원 선에서 책정될 전망이며, 레드햇코리아는 일반 쇼핑채널을 통한 판매 외에 PC에 번들하는 것 등 다양한 판매방법을 모색하기로 했다.레드햇의 데스크톱 OS는 레드햇 서버 OS와 코드 기반이 같아 개발자들이 데스크톱에서 개발한 것을 자연스럽게 서버에서 활용할 수 있고, 데스크톱 내에 저장된 작업내용과 기업의 공유 파일 스토리지에 저장된 내용을 자동으로 동기화해 온ㆍ오프라인에서 원활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또 데스크톱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GUI)를 대폭 개선해 사용성을 높였다.박준규 상무는 "아직 국내 리눅스 데스크톱 OS 시장이 워낙 협소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둘지는 미지수이지만, 제품 출시에 맞춰 다양한 프로모션을 전개하는 것을 비롯해 국내시장 확대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레드햇과 국내 리눅스 OS 시장 선두자리를 놓고 경쟁하고 있는 한글과컴퓨터 역시 기존 제품보다 기능을 대폭...

다국적 IT기업 `리눅스 연합` 뜬다

이미지
오라클 IBM NEC 등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일본에서 컴퓨터 서버에 기본 운영체제(OS)로 윈도 대신 리눅스를 탑재해 판매하기 위한 연합체를 구성한다.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리눅스 판매연합이 결성되긴 처음이다. 일본의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컴퓨터 서버 업체인 일본 오라클 주도로 내달 중 다국적 IT 기업 10여개사가 뭉치는 리눅스 판매연합이 일본에서 결성될 예정이라고 3일 보도했다.연합엔 NEC 히타치 휴렛팩커드(HP) 델 등 서버 업체는 물론 NTT데이터 등 시스템 개발 회사도 참가한다.이 연합은 통합 브랜드로 리눅스 탑재 서버를 판매하고 수리 등 애프터서비스와 특허 분쟁 처리 등에 공동 대응할 계획이다.특히 애프터서비스는 미국 본사를 포함해 약 6000여명의 기술진을 보유한 오라클이 전담키로 했다.일본에서 리눅스 판매 연합이 추진된 것은 최근 일본 정부가 리눅스 사용을 확대키로 했기 때문.일본 총무성은 설계 정보가 공개되지 않는 MS 윈도에만 의존해선 소프트웨어 산업이 발전할 수 없다고 보고,리눅스의 보급을 촉진하는 정부조달 지침을 올 7월부터 시행키로 했다.일본 정부의 IT투자액은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해 올해 약 2조엔(약 16조원)에 달한다.일본 전체 투자액의 15%를 차지하는 것으로 무시할 수 없는 규모다.그러나 리눅스는 특허관리를 하지 않아 특허분쟁 소지가 크고,애프터서비스도 중소기업이 맡고 있어 관련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게 단점으로 꼽혔다.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이 연합체를 구성,특허문제나 애프터서비스 등에 공동 대처키로 한 것.오라클은 앞으로 미국 등 다른 시장에서도 이 같은 리눅스 판매연합을 추진할 계획이다.작년 말 현재 일본 내 컴퓨터 서버용 OS의 시장점유율은 윈도가 78%,리눅스는 14%였다.도쿄=차병석 특파원 chabs@hankyung.com 다국적 IT기업 `리눅스 연합` 뜬다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 한경닷컴 :: Blogged with Flock

ETRI, MS와 ‘전자 ID지갑’ 연구협력

이미지
ETRI는 4일 서울 대치동에 있는 한국마이크로소프트(MS) 본사에서 MS와 정보보호 기술과 관련 협력을 위한 업무협력 협정을 체결하고 정보보호 연구소를 한국MS내에 설립 했다. ETRI 최문기원장(왼쪽)과 정보통신부 서병조 정보보호기획단장(가운데), 한국MS 유재성 사장이 연구소 설립기념 테이프를 커팅하고 있다.일상생활에서 신용카드, 신분증 등을 넣어 널리 사용하고 있는 ‘지갑’처럼 디지털시대에 발맞춰 각종 전자인증에 필요한 개인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저장, 이용할 수 있는 사이버상의 ‘디지털 지갑’이 출시된다.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최문기)는 4일 마이크로소프트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정보보호 연구소를 한국MS내에 설립키로 했다고 밝혔다. 새로 설립되는 정보보호 연구소에서는 인터넷에 분산된 개인정보 및 인증정보를 통합해 관리가 가능한 ‘전자ID지갑 시스템 개발’에 나서게된다.이날 ETRI가 MS와 체결한 MOU의 주요 내용은 MS의 이노베이션센터내에 정보보호연구소를 개설해 ▲자기통제 강화형 전자ID지갑 시스템과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및 디지털 ID 관리 기술 그리고 ▲정보보호기술에 대해 공동연구 및 세미나 등의 기술협력을 추진하는 것이다.ETRI측은 이번 MOU는 최근 아이디 및 주민등록번호 도용 등으로 인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의 사례가 급증함에 따라 MS 등과의 협력을 통한 대응방안 마련이 주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정보통신부 정보보호기획단 서병조 단장은 “ETRI와 MS의 정보보호기술 협력을 통해 ETRI의 축적된 보안 연구능력과 MS사의 기술력이 잘 결합돼 프라이버시 보호 및 정보보호의 세계적인 리더십을 갖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또 ETRI IT융합서비스부문 손승원 수석연구단장은 “본 협약이 현재 화두가 되고 있는 웹2.0이나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개인정보 공유서비스를 제공, 차세대 IT산업을 활성화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유재성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사장은 “마이크로소프트 본사에서 정부와 공동보안연구소를 한...

어도비, 플렉스’ 오픈 소스화 발표

어도비시스템즈(www.adobe.com)는 RIA(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솔루션인 어도비 플렉스(Adobe Flex)의 소스 코드를 오픈 소스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개발자들은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웹과 데스크탑용 크로스 플랫폼 RIA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플렉스 SDK 및 문서는 모질라 공개 라이센스(Mozilla Public License, MPL)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 소스 코드 공개는 어도비의 오픈소스 정책의 일환이다. 이미 어도비는 액션스크립트 버추얼 머신(ActionScript Virtual Machine)의 소스 코드를 모질라 재단에 기증했으며, PDF 표준화를 위해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에 PDF 1.7의 전체 스펙을 공개한 바 있다.플렉스 소스 코드를 오픈 소스로 제공함으로써 어도비는 전세계 개발자 커뮤니티와 플렉스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다른 오픈 소스 프로젝트와 협업할 수 있게 되었다.2006년 6월부터 무료로 배포된 어도비 플렉스 SDK는 개발자들이 효과적으로 플렉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MXML 컴파일러, 일반적인 플렉스 프레임워크 개발에 필요한 액션스크립트 3.0(ActionScript 3.0) 라이브러리 등의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개발자들은 플렉스 컴파일러, 컴포넌트 및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위한 소스 코드를 자유롭게 다운받고 확장할 수 있게 될 것이다.어도비는 “플렉스의 발전은 뛰어난 개발자 커뮤니티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며 “플렉스를 오픈 소스화 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수순이다. 이번 결정으로 플렉스 개발자 집단과의 협업이 더욱 강화되어 이것이 향후 발전과 혁신을 위한 에너지가 될 것으로 믿고 있다”고 밝혔다.한편, MPL을 통한 플렉스 오픈소스 공개는 플렉스의 차기 버전을 출시하는 올해 하반기부터 제공될 예정이다. 국내최대의 IT정보 및 디지털 커뮤니티 - 케이벤치 Blogged with Flock

델, 우분투 리눅스 선택

델이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서 리눅스가 설치된 노트북과 PC를 판매하기로 결정한데 이어 장착될 배포판으로 우분투(Ubuntu) 리눅스를 선택했다. 델은 앞으로 수주 이내에 우분투 7.04가 장착된 노트북과 데스크탑PC 모델의 판매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우분투 리눅스는 데비안에 기반을 둔 리눅스 배포판으로 사용, 설치 편이성과 정기적인 새 버전 출시, 그리고 사용상의 자유를 주요 목표로 만들어진 것이며 캐노니컬(Canonical)사가 스폰서를 하고 있다.델은 자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포럼을 통해서 네티즌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설문조사 응답자의 70% 이상이 리눅스가 장착된 델 시스템을 원하고 있으며 리눅스 장착 델이 출시되면 사무실과 집에서 모두 사용하겠다는 소비자들의 의견을 듣게 되었다.델과 같은 대형 PC 제조업체가 리눅스가 미리 장착된 소비자 대상의 데스크탑과 노트북을 출시한다는 것은 리눅스 진영에게는 매우 반길만한 큰 소식이다. 그러나 이것이 아직도 데스크탑 진출에 있어서는 그다지 지지기반을 넓히지 못하고 있는 리눅스의 시장 확대에 어느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인지는 불확실하다.캐노니털의 창업자인 마크 셔틀워스 역시 갑자기 플랫폼이 이전되는 대폭발 같은 것은 없지만 리눅스가 자리를 잡아가고있는 것은 분명하게 보인다고 밝혔다.또한 리눅스 도입은 국가별로도 차이가 극명하게 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IT 관리부서, 개발자들에게 도입율이 높은 편이지만 신흥 개발 국가들의 경우 일반적인 소비자들도 리눅스 도입에 비교적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비용적인 측면과 함께 바이러스에 대한 위협도 작기 때문.델이 리눅스를 장착해서 시스템을 출고하는 것은 이번이 최초는 아니다. 델은 99년부터 파워엣지 서버에 레드햇 리눅스를 장착해서 판매해오고 있으며 노벨/수세 리눅스를 기업용 서버에 장착해서 2005년부터 판매해오고 있다. 또한 델의 래티튜드 노트북, 옵티플렉스 데스크탑은 노벨 수세 엔터프라이즈리눅스 10과 호환성에서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국내최대의 IT정보...

레드햇 코리아, 국내 오픈 소스 시장 공략을 위한 3대 핵심 전략 발표

오픈 소스 분야의 레드햇 코리아 (www.kr.redhat.com)는 2일, 공공 및 금융, 통신, 제조 등 4대 시장 공략을 목표로 국내 고객 수요에 맞춘 새로운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5’와 ‘제이보스 엔터프라이즈 미들웨어’ 등을 출시하고, 국내 오픈 소스 시장을 선도해 나가기 위한 3대 핵심 전략을 발표했다.레드햇 코리아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5(Red Hat Enterprise Linux 5, 이하 RHEL5)’와 ‘제이보스 엔터프라이즈 미들웨어(JBoss Enterprise Middleware)’ 출시에 맞춰 고객세미나 개최와 함께 국내 시장 공략 전략을 발표하는 기자간담회를 마련하고, 주요 사업 전략으로 RHEL5와 제이보스 엔터프라이즈 미들웨어 등의 신제품 출시에 맞춰 다양한 고객 대상 프로모션 및 지원 프로그램 전개, 레드햇 익스체인지 (Red Hat Exchange, RHX) 등 새로운 패러다임의 고객 서비스 제공, 파트너 정책 강화 등을 3대 핵심 전략으로 삼아 업계 선도적인 오픈 소스 솔루션 업체로 입지를 강화하고, 50% 이상의 비즈니스 성장률 달성 등을 발표했다.레드햇 코리아 박준규 대표대행은 “레드햇 코리아는 파트너 및 채널들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면서 고객 가치의 극대화를 위해 노력해 왔으며, 업계 선구자로서 다양한 공개 소프트웨어 제품의 마케팅과 판매를 일괄 지원하는 ‘레드햇 익스체인지(RHX)’ 등의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발표하면서 국내 오픈 소스 시장의 혁신을 불러일으키는데 주력할 것이다”라고 의의를 밝혔다.이에 덧붙여 그는 “레드햇 코리아는 제이보스 엔터프라이즈 미들웨어를 포함해 보다 강화된 제품 라인업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공개 소프트웨어 시장의 패러다임에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끊임없는 기술 개발을 통해 시장을 선점,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강조했다. 국내최대의 IT정보 및 디지털 커뮤니티 - 케이벤치 Blogged with Flock

공개SW 기반 시스템 전환 지원

레드햇코리아(대표대행 박준규)는 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벤션홀에서 `레드햇 솔루션 세미나'를 열고 기존 시스템을 공개 소프트웨어(SW) 아키텍처로 쉽게 바꿀 수 있도록 공개SW 기반 시스템 구현 전 단계에서 제이보스 엔터프라이즈 미들웨어 사용을 지원하는 `제이보스 엔터프라이즈 플랫폼 서브스크립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또 제이보스 사용자 커뮤니티(JBoss.org)를 활성화 해 공개SW 기반의 미들웨어 솔루션인 제이보스 관련 정보와 지원을 무료로 제공하고, 공개SW 제품의 기획부터 개발까지 지원하는 `레드햇 개발자 지원 서브스크립션'을 함께 발표했다.이와 함께 신규 서브스크립션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객과 협력사를 대상으로 교육과 인증을 제공할 계획이다레드햇코리아 박준규 대표대행은 "많은 기업이 IT 예산의 70%를 기존 애플리케이션의 유지비용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어 고민하고 있다"며 "고객이 쉽게 시스템을 이전할 수 있도록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 5와 제이보스 미들웨어를 출시하고 이를 지원하는 서브스크립션을 발표했다"고 말했다.이와 함께 국내 공개SW 시장 공략을 위해 △RHEL5와 제이보스 미들웨어 출시에 맞춰 다양한 고객 대상 프로모션과 지원 프로그램 전개 △제휴 공개SW 제품의 마케팅과 판매를 일괄 지원하는 레드햇 익스체인지, 타사 솔루션에서 발생한 문제까지 해결해주는 서비스인 레드햇 협력 레졸루션 센터 등 신규 고객 서비스 제공 △파트너의 영업 마케팅을 지원하는 마케팅 개발 펀드, 레드햇 파트너 포털 등 파트너 정책 강화 등 3대 전략을 발표했다. 이를 기반으로 회사는 올해 50% 이상의 매출 성장률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공개SW 기반 시스템 전환 지원 - 디지털 시대, 디지털 리더 디지털타임스 Blogged with Fl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