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SW「과연 미래가 보이나?」
최근 몇 년간 공개SW가 대규모 공공기관 프로젝트에 적용된 사례가 속속 나오고 있다. 이는 정통부가 발벗고 나서서 공개SW 육성책을 시행한 성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속을 들여다보면 ‘공개SW가 얼마나 활용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든다. 공개SW 시장 활성화에 가장 큰 걸림돌은 단연 적용시장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지난 해 교육부의 NEIS, 기상청, 제2 정부통합전센터, 행자부 등 투자규모가 상당한 공공 프로젝트에 리눅스가 도입됐다. 그러나 공개SW의 도입은 딱 여기까지라고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공공 프로젝트에 적용됐을 뿐, 민간 기업으로의 확산은 여전히 먼 길이다. 한 정부 관계자는 “리눅스를 도입하면 도입비용 측면에서 유닉스나 윈도우 서버 OS에 비해 50-60%를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감 부분을 전체사업에서 보면 큰 의미가 없다. HW 장비가 대부분의 비용을 차지하는 데 비해 SW는 비중이 적은데다, 그 중에서도 공개SW 비중은 극히 적기 때문에 비용절감 효과를 언급하는데 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시장 확산과 수익성은 높이기 위해서는 민간 기업 시장으로 진출해야 한다는 것은 인과관계가 명확한 사실이다. 관련 업계의 마진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기관보다 민간 부문이 뛰어나다는 것 이외에도, 민간에서 활용될 경우 공개SW의 호환성 문제를 조기에 해결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기 때문이다. 공개SW, 공공 프로젝트에 제한적 도입 현재 공공기관 프로젝트에 도입된 공개SW의 대부분은 일부 서버 OS로 리눅스를 도입한 것이다. 그 또한 상호호환성의 문제로 도입이 예정됐던 공개SW를 변경한 사례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실제 제2 정부통합전산센터의 경우, 이 호환성 문제로 리눅스 도입을 유닉스로 바꾼 사례가 있다. 서비스데스크 AP서버와 응용SW 간의 호환성 문제로 리눅스 OS를 바꾼 것인데, 공공 프로젝트에서 이러한 사례가 극히 예외적인 것이 아니다. 정부통합센터의 한 관계자는 “공개SW 도입은 상용SW 보다 힘든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