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8, 2007의 게시물 표시

국내SW산업, 이대로는 않된다

국내 소프트웨어(SW) 산업이 제대로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SW기업들은 영세성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고, SW분야에 대한 투자와 인력도 부족해 국내 SW 산업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SW는 당초 부가가치가 높아 기대가 컸던 게 사실이다. 한 때 외산 SW의 공세에 맞서 정부와 공공기관에서는 국산 SW를 사용하려는 붐이 일기도 했다. PC사용자들도 국내 SW산업을 살리기 위해 국산 SW를 적극 사용했다. 국산 워드프로세서가 지금도 정부기관이나 관공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그만큼 국산 SW는 국내 IT산업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문을 차지했던 것이다.국내 SW 산업의 중요성은 지금도 마찬가지다. 지난 10년간 국내 SW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해 왔다. 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국내 SW 생산액은 1996년 2조7000억원에서 2006년 21조7000만원으로, SW 수출액은 1996년 2000만달러에서 2006년 12억5000만달러로 증가했다.그러나 세계시장과 비교해 보면 우물안 개구리다. 2005년 세계 SW시장 규모는 6687억달러인데 비해 국내 SW시장은 68억달러로 세계시장의 1%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한다. 일본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세계 시장 점유율이 40%를 웃도는 국산 메모리 반도체, LCD 등과 비교하면 SW산업의 갈길은 멀기만 하다. 국내 SW산업을 이대로 방치해서는 안된다.세계 SW시장에서 내놓을 만한 국내 기업이 없는 것은 우리 SW산업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SW분야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휴맥스 같은 세계 경쟁력을 갖춘 기업이 왜 나오지 못하는가. 미국에는 IBM, HP 같은 하드웨어(HW) 중심의 기업 이외에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같은 세계적인 SW업체들이 적지않다.국내 SW기업들이 세계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은 글로벌 전략의 부재와 관련이 있다. 세계 시장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 미국과의 FTA 타결로 SW시장...

전문솔루션기업을 키우자 - 김병국 티맥스소프트대표

이미지
지난 10년간 한국 경제를 IT산업이 이끌며 눈부신 발전을 이뤄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중국, 인도를 비롯한 후발주자들의 추격이 만만치 않은데다 선진국들의 기술 장벽은 여전히 두터워 한국이 '샌드위치'가 되고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고 각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려면 지속적인 원천기술의 확보와 보다 고부가가치화하는 노력이 절실한데, 그 열쇠가 바로 소프트웨어 산업이다.자동차, 통신단말기, 가전 등 중요한 생산품의 원가에서 소프트웨어는 30~40%의 비중을 차지한다. 소프트웨어산업 자체의 부가가치도 제조업의 2.2배, 서비스업의 1.2배나 높다. 소프트웨어의 경쟁력은 제조, 통신, 금융, 교육, 문화 등 다른 산업들과 컨버전스를 이루는 고리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필연적인 과제인 셈이다.그간 정부가 반도체, LCD, 통신단말기 등 하드웨어에 비해 소프트웨어 분야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IT839' 정책 등을 통해 2~3년 전부터 임베디드SW, 패키지SW, 디지털콘텐츠, 공개SW 등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전략을 제시하고 공공 분야의 발주관리 제도를 손질하는 등 정책적으로 육성 의지를 보이는 것은 뒤늦게나마 반가운 일이다.한국 소프트웨어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전문화된 솔루션 기업의 탄생이 시급하다. IT서비스 기업들의 경우 국내 지배구조의 특수성에 영향을 받아 각 그룹별 계열사로 존재함에 따라 공공 및 일부 금융시장 등을 제외하고는 경쟁시장이 적다. 당연히 성장 속도나 해외 진출에 한계를 보일 수 밖에 없다.공개 소프트웨어 역시 운영체계(O/S) 등 외산 제품이 독점하던 분야에 국산 소프트웨어가 경쟁 제품으로 자리잡으며 성과를 내고 있지만 원천 기술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아 해외시장에서 종국에는 자본력, 브랜드 인지도 등 기업의 덩치 싸움이 될 가능성이 높다. 결국 세계 소프트웨어 1위 국가인 미국의 사례처럼 전문 솔루션 기업들이 자국 시장에서 기반을 ...

SW 산업 잠재 위기 글로벌로 뚫자-(1) 글로벌화의 당위성

SW 산업 잠재 위기 글로벌로 뚫자한미 FTA가 타결되는 등 시장은 갈수록 글로벌 단위로 넓어지고 있다. 아니, 좁아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은 이 글로벌 시장에서 씨앗을 뿌리고 파이를 늘려나갈 수 있을까? SW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통한 글로벌 진출 이슈가 어느 해보다 뜨거운 관심사가 되고 있다.SW 산업에서 아직 어느 누구도 이렇다 할만한 해외 진출 성공사례를 만들지 못하고 있는 만큼 관련 기업의 현재 해외 진출 노력과 움직임이 결실을 맺을지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글로벌 이슈에 대한 도전과제에 대한 당위성은 널리 인식돼 있지만 그 가능성과 구체적인 방법론에는 아직도 논의가 부족해 보인다. 이에 우선 우리 주변의 해외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움직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전문 영역, 틈새시장에서 파이 키우는 SW 기업들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거대 SW 기업을 굳이 들여다 볼 필요는 없다. 사실 그 정도 기업까지 가기에는 국내 기업 역량으로 현실적으로 너무 먼 거리에 있는 게 사실이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특화된 영역에서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가장 빠른 첩경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비즈니스 오브젝트는 요즈음 이슈가 되고 있는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 영역에서 세계적인 전문기업이다. BI는 기업들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략적 의사결정을 하도록 돕는 솔루션이다. 비즈니스 오브젝트의 규모를 보자. 이 회사는 지난해 세계에서 매출 12억5000만달러를 기록했으며 전세계 6000여명 직원에 아태 지역에서는 600여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BI 한 분야에서 매출 1조원에 직원 6000여명의 회사인 이 기업과 견줄 우리 SW 기업들이 있는가? 전문 솔루션 한 분야로 매출 1조원을 내는 국내기업은 없다. 국내 SW 대표 기업으로 꼽히는 티맥스소프트의 경우, 지난해 매출 600억원 가량에 1000여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 단순 비교하자면 비즈니스 오브젝트와 같은 전문 영역에서의 솔루션(SW) 기업이 티맥스 매출의 10배 이상,...

PMP 시장의 현황과 전망

미국의 리서치 업체인 아이서플라이(iSuppli)는 2007년 4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PMP) 산업과 관련한 최근 통계를 공개하고 2011년까지의 전망을 내놓았다. 아이서플라이 측은 2011년 PMP 업계의 규모가 2005년의 2배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2007년 PMP의 출하량은 2006년의 1억 7,800만 대에서 22% 늘어난 2억 1,70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아이서플라이 측은 PMP/MP3 플레이어가 가전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 중 하나이며 2011년에는 출하량이 2억 6,900만 대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PMP 업계의 매출 또한 2007년의 206억 달러에서 2011년에는 215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이러한 성장에는 PMP/MP3 플레이어가 여타 가전 기기보다 훨씬 더 인터넷을 잘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영향을 주고 있다고 아이서플라이 측은 지적했다. 인터넷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들은 매우 빠르고 쉽게 미디어를 고르고, 구하고,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특히, 영상을 위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PMP 출하량은 음악만 듣는 MP3 플레이어보다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향후 브로드밴드 연결과 인터넷 사용이 늘어나며 이러한 흐름은 추후 5년 동안 지속될 것으로 아이서플라이 측은 예상했다.2011년까지 PMP는 PMP/MP3 부문 전체 출하량 중 66%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특히 플래시 메모리 기반 PMP의 출하량은 2007년의 4,700만 대에서 2011년에는 1억 3,500만 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었다.아이서플라이는 사용 가능한 콘텐츠와 확대와 부품 가격의 인하로 인해 이러한 급격한 시장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출처 PCMAGhttp://news.yahoo.com/s/zd/20070330/tc_zd/204370;_ylt=Alnoc0wLyIFh6gZGUZ81nBRX.3QA http://203.253.128.6:8088/servlet/eic.wism.E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