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프트웨어(SW) 강국을 만들겠다며 ‘공개소프트웨어(SW)’ 육성 정책을 펼쳐온 지 3년이 지났다. 그동안 정부는 공공기관의 프로젝트를 공개SW 기반으로 진행하고 다양한 시범사업을 펼치는 등 공개SW 육성을 위해 노력해온 것이 사실이다.그러나 아직도 국내 공개SW 시장은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공개SW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SW 종속국’의 오명을 벗기 위해 정부, 업계뿐 아니라 모든 사용자가 나서야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올해 초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가 새 운영체제(OS)인 ‘윈도비스타’를 출시하면서 국내 인터넷 사용자와 사업자, 정부는 한바탕 혼란을 겪어야만 했다. ‘윈도비스타’가 국내 인터넷 사이트 대부분이 채택하고 있는 ‘액티브X’ 기술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네이버, 다음 등 포털사이트, 각 게임사이트, 은행 등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윈도 비스타’와 호환을 위해 소스코드를 수정하는 등 한 바탕 소동을 겪어야만 했다. ‘윈도 비스타 폭풍’은 온 나라의 인터넷서비스가 한 업체의 소프트웨어(SW)에 종속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를 절실히 깨닫는 계기가 됐다. 이에 더 심각한 사태를 겪기 전에 공개 SW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개발자도, 사용자도 없는 한국공개SW는 ‘소스코드’가 공개돼 누구나 이를 자유롭게 활용하고 개선하고 다시 이를 오픈하는 SW를 말한다. ‘소스코드’가 공개되기 때문에 자칫 ‘공짜 SW’라는 잘못된 인식을 할 수 있지만 오히려 수많은 개발자가 개발에 참여하는 수준 높은 SW라는 게 보다 정확한 정의다.이 때문에 공개SW의 발달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개발자의 참여가 중요하다. 외국의 경우 수백만에 달하는 SW 개발자들이 자발적으로 공개SW 커뮤니티 등에 참여해 새로운 공개SW를 만들어내고 있다.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공개SW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개발자 수 자체가 매우 적다. 새로운 공개SW를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SW 주권국가’가 될 수 있는 기반 자체가 취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