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2, 2007의 게시물 표시

한국일보 : 은행 "블루오션 '에스크로' 잡아라"

이미지
한국일보 : 은행 "블루오션 '에스크로' 잡아라" Blogged with Flock

리눅스와 백만장자

‘리눅스와 백만장자(?)’‘SW를 만인이 공유하자’라는 평등주의 개념을 외치는 리눅스와 자본주의의 산물인 백만장자. 어찌보면 상반되는 조합이다.그러나 최근 리눅스 발전을 이끄는 두 명의 백만장자가 있어 화제다. 바로 세계굴지 PC업체 델을 만든 마이클 델 회장(42)과 우분투(Ubuntu) 리눅스 개발을주도하는 캐노니컬의 마크 셔틀워스 CEO(33)이다.마이클 델 회장이 19세 때인 1984년에 단돈 1000달러로 회사를 차려 성공한일화는 이미 유명하다. 델 회장은 중간 도소매상을 거치지 않고 전화 주문으로직접 소비자와 거래하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유통기법을 도입해 델컴퓨터(현재 델)의 매출을 창업 4년 만인 1988년에 8500만달러, 8년 만인 1992년에 20억달러, CEO에서 퇴임하던 2001년까지 총 310억달러로 끌어 올렸다. 텍사스오스틴의 조그마한 조립PC 벤처로 출발한 회사는 1999년 미국 PC시장 1위,2001년 세계 1위로 눈부시게 도약했다.마이클 델 자신도 27살에 세계 500대 부자, 34살에는 미국 5대 부호 반열에 들었고 오늘날 171억달러의 재산을 보유, 포브스가 발표한 전 세계 갑부 중 12위에 올라 있다.보안솔루션 업체 써트컨설팅을 운영하던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부호 마크 셔틀워스는 2002년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까지 우주비행을 다녀왔다. 민간인으로서는 미국의 데니스 티토에 이어 세계 두 번째였다.2000만달러에 이르는 경비는 써트컨설팅을 베리사인에 매각하고 받은 5억7500만달러에서 충당했다. 셔틀워스는 IT업체 CEO답게 두 대의 노트북PC를소지하고 우주여행을 떠나 ISS 내에서 컴퓨터가 작동하는지를 살펴보기도 했다. 우주와 리눅스가 미지의 세계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었을까. 우주에 다녀온 셔틀워스는 2004년 영국으로 건너가 남은 돈으로 리눅스회사 캐노니컬을 설립하고 우분투 리눅스를 개발하기 시작한다. “진정한 의미의 오픈소스비즈니스를 정착시키고 싶다”는 것이 그의 포부였다. 과거 리눅스

공개SW 뿌리부터 바꾸자

정부가 소프트웨어(SW) 강국을 만들겠다며 ‘공개소프트웨어(SW)’ 육성 정책을 펼쳐온 지 3년이 지났다. 그동안 정부는 공공기관의 프로젝트를 공개SW 기반으로 진행하고 다양한 시범사업을 펼치는 등 공개SW 육성을 위해 노력해온 것이 사실이다.그러나 아직도 국내 공개SW 시장은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공개SW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SW 종속국’의 오명을 벗기 위해 정부, 업계뿐 아니라 모든 사용자가 나서야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올해 초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가 새 운영체제(OS)인 ‘윈도비스타’를 출시하면서 국내 인터넷 사용자와 사업자, 정부는 한바탕 혼란을 겪어야만 했다. ‘윈도비스타’가 국내 인터넷 사이트 대부분이 채택하고 있는 ‘액티브X’ 기술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네이버, 다음 등 포털사이트, 각 게임사이트, 은행 등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윈도 비스타’와 호환을 위해 소스코드를 수정하는 등 한 바탕 소동을 겪어야만 했다. ‘윈도 비스타 폭풍’은 온 나라의 인터넷서비스가 한 업체의 소프트웨어(SW)에 종속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를 절실히 깨닫는 계기가 됐다. 이에 더 심각한 사태를 겪기 전에 공개 SW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개발자도, 사용자도 없는 한국공개SW는 ‘소스코드’가 공개돼 누구나 이를 자유롭게 활용하고 개선하고 다시 이를 오픈하는 SW를 말한다. ‘소스코드’가 공개되기 때문에 자칫 ‘공짜 SW’라는 잘못된 인식을 할 수 있지만 오히려 수많은 개발자가 개발에 참여하는 수준 높은 SW라는 게 보다 정확한 정의다.이 때문에 공개SW의 발달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개발자의 참여가 중요하다. 외국의 경우 수백만에 달하는 SW 개발자들이 자발적으로 공개SW 커뮤니티 등에 참여해 새로운 공개SW를 만들어내고 있다.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공개SW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개발자 수 자체가 매우 적다. 새로운 공개SW를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SW 주권국가’가 될 수 있는 기반 자체가 취약하다